종합소득세 카드납부를 통해 할부납부가 가능합니다. 종합소득세 이 외에 각종 국세, 관세, 과태료, 인지대 및 송달료 등 모든 세금은 카드로 납부할 수가 있습니다. 다만 납부대행수수료가 발생하며, 신용카드는 납세액의 0.8% 그리고 체크카드는 납세액의 0.5%가 발생합니다.
카드납부시 추가적인 수수료가 발생하지만, 신용카드로 결제하게되면 각종 카드사의 이벤트 혜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납부해야할 세금 액수가 부담스러운 경우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무이자 할부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등 여러가지 장점이 존재합니다.
종합소득세 카드납부는 세금을 내야하는 기일까지 납부를 완료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추가로 발생할 수 있음을 유의바랍니다. 또한 세금이 얼마이든 납부한도가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과태료는 무조건 1%의 수수료가 붙는점 참고바랍니다.
종합소득세 카드납부 방법
1. 금융결제원의 카드로택스 홈페이지로 접속 한 뒤 공인인증서 등으로 로그인해줍니다.
2. 종합소득세 납부의 경우 국세 메뉴를 클릭합니다.
3. 주민등록번호 혹은 전자납부번호(납부자번호)를 선택하고 공인인증서 등으로 본인인증조회합니다.
4. 조회된 결과에서 상세보기를 클릭합니다.
5. 납부고지서를 확인하고 하단의 결제수단을 신용카드로 선택합니다.
6. 납부카드 선택 및 정보를 입력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이 때 카드사별 무이자할부 혜택등을 미리 확인합니다.)
7. 납부금액과 긴급연락처를 입력하고 납부하기를 클릭합니다.
8. 전자서명 내용을 확인하고 동의하시면 확인을 클릭합니다.
9. 공인인증서(공동인증서)로 인증합니다.
10. 납부결과를 확인합니다.
주의사항
※ BC전북카드 또는 KB전북카드는 전북은행카드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 카드 납부 시 발생하는 납부대행수수료는 관계법령(국세기본법)에 따라 납부자가 추가 부담하여야 합니다.
구분 | 납부대행수수료 |
---|---|
신용카드 | 납세액의 0.8% 추가부담 |
체크카드 | 납세액의 0.5% 추가부담 |
※ 국세는 해당 기관 요청에 따라 납부취소 불가합니다. 잘못 납부하셨거나 이중출금 등이 발생된 경우 해당 기관을 통해 환급받으시기 바랍니다.
※ 실납부자 본인(회원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회원본인) 명의의 카드만 이용 가능합니다.
※ 모든 세금 납부 금액은 소득공제 제외됩니다.
결제가능한 카드사
카드사 | 전화번호 |
---|---|
현대카드 | 1577-6000 |
신한카드 | 1544-7000 |
KB국민카드 | 1588-1688 |
삼성카드 | 1588-8700 |
비씨카드 | 1588-4000 |
농협카드 | 1644-4000 |
하나카드 | 1800-1111 |
우리카드 | 1588-9955 |
수협카드 | 1588-1515 |
전북카드 | 1588-4477 |
광주카드 | 1600-4000 |
국세관련 카드사 무이자할부 안내
카드사별로 무이자 내용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카드사 무이자할부 공식 안내 게시판을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관련글
> 국세 납세 증명서 발급방법 – 30초만에 국세완납증명하기
관련영상
세금납부방법 4가지, 세금도 카드 납부가능!?
문의사항
세금 카드 납부와 관련한 궁금한 사항이나 금융결제원 카드로택스 홈페이지 이용관련한 자세한 문의사항은 카드로택스 공식 고객센터 전화번호 ☎ 1577-5500으로 전화하시면 친절하게 상담받을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