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 패스 조회 방법 – 10초만에 해외 통관 확인해보자

unipass-customs-clearance

관세청의 유니패스 홈페이지에서 통관물류정보의 수입화물 진행정보에서 해외직구 통관정보조회 메뉴로 들어가면 본인인증 후 유니패스 통관진행상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운송장 번호를 몰라도 본인인증을 하면 간편하게 통관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니패스 통관 조회는 개인통관고유부호를 통해 조회하거나 운송장 번호를 통해 조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조회를 통해 수량, 금액, 중량, 거래품명 등의 수입신고 내역과 화물관리번호, 포장갯수, 화물관리 번호 등의 통관 … 더 읽기

베트남 e비자 신청 공식 사이트 신청 방법 – 대행 사이트 구분하기

베트남-e비자-공식사이트-안내

베트남 e비자 공식 신청 사이트에서 비자신청이 어렵지 않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굳이 대행을 맡길 필요는 없습니다. 영어로 된 공식 사이트는 한글번역 기능을 이용하면 어렵지 않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몇몇 비자신청 대행 사이트들이 마치 공식 사이트인 것처럼 위장하여 고액의 수수료를 받고 신청을 대행해 준다는 것입니다.  대행사이트를 무조건 이용하면 안된다는 것은 아니지만 공식처럼 위장한 사이트는 피하는 … 더 읽기

외국인 등록증 조회 방법 – 10초만에 유효 확인하기

외국인등록증-조회-방법

하이코리아의 정보조회 메뉴에서 등록증 거소증 유효확인으로 들어간 뒤 본인인증 후 외국인 등록증에 기재된 등록번호, 일련번호 그리고 발급일자를 입력하면 외국인 등록증 조회가 가능합니다. 외국인등록증 뿐 아니라 영주증, 국내거소신고증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외국인 등록증 조회를 통해 외국인 등록증이 현재 실제 유효한지 확인이 가능하며 해당 외국인이 신분 도용을 하거나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의료나 통신 각종 … 더 읽기

과거 환율 조회 하기 – 일별 확인하는 3가지 방법

과거-환율-조회하기

서울외국환중개 사이트, 하나은행(구 외환은행) 그리고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공식 홈페이지 등에서 과거 환율을 일자별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환율, XE 사이트에서도 과거 환율 조회가 가능하며 환율을 조회하는 곳에 따라 조금씩 환율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환율이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각 기관이 환율을 산정 및 계산하는 방식와 목적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입니다. 서울외국환중개 사이트는 금융기관 … 더 읽기

아고다 비회원 예약 확인 취소방법 – 30초만에 해결해보자

제목을 입력해주세요 001

아고다는 회원뿐 아니라 비회원도 예약이 가능합니다. 숙소나 항공권 예약을 완료한다면 30분 내로 컨펌확인을 위한 예약확인서를 이메일((대기후에도 이메일을 받지 못하는 경우 스팸메일이나 차단메일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로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회원으로 예약했을 때 예약확인 이메일을 받지 못하는 경우 고객센터에 예약 확인 여부를 체크해야합니다. 비회원도 예약이 가능한만큼 잘못된 예약을 한 경우나 예약정보를 찾을 수 없다면 난감한 상황에 … 더 읽기

원산지증명서 발급방법 – 대한상공회의소에서 3분만에 

issue-co

원산지증명서 발급은 대한상공회의소 혹은 관세청(세관)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대한상공회의소  원산지증명센터를 통해 온라인으로 쉽고 빠르고 간편하게 신청하고 발급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원산지 증명서 발급을 통해 수입지의 바이어가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원산지증명서는 C/O라고도 하며 Certificate of Origin 의 약자로 말그대로 제품의 원산지를 증명하는 중요한 서류입니다. 이를 통해 바이어는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어 수출자에게 협조를 요청하는 서류입니다. … 더 읽기

대만 고속철도 예약하는 3가지 방법 – 할인운임 총정리

taiwan-thsr

대만 고속철도 THSR 예약은 온라인에서 간편하게 티켓을 구입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대만 고속철도는 타이페이(Taipei)와 난강(Nangang), 반차오(Banqiao), 타오위안(Taoyan), 신주(Hsinchu), 먀오리(Miaoli), 타이중(Taichng), 원린(Yunin), 장화(Changhua), 자이(Chiayi), 타이난(Tainan), 저윙(Zuoying) 등의 역을 운행합니다. 대만 고속철도 예약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직접 예약할 수도 있지만 클룩(Klook)이나 케이케이데이(KKday)와 같은 여행사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예약을 할 수 있습니다. 여행사를 통해 판매되는 티켓은 외국인 방문객만 이용이 가능한 경우가 … 더 읽기

개인통관고유부호 10초 조회방법 – 기억이 나지 않을때

개인통관고유부호-조회방법

개인통관고유부호 조회는 관세청 유니패스 전자통관시스템 공식 홈페이지 혹은 모바일 관세청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개인통관고유부호를 발급받지 않았거나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먼저 조회를 통해 발급내용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기존에는 해외에서 직구를 하거나 물건을 수입할 때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개인통관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관세청을 통해 발급받는 개인통관번호 역시 개인정보에 해당하기 때문에 개인통관고유부호를 발급받는 즉시 … 더 읽기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방법 – 1분이면 간단하게 발급

개인통관고유부호-발급방법

해외로부터 물품을 수입 혹은 해외직구를 하기 위해서는 개인통관고유부호를 발급받아 사용해야합니다. 고유부호는 관세청 홈페이지에서 본인인증 후 간편하게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이외에도 모바일 관세청 앱을 통해서도 쉽게  발급이 가능합니다. 기존에는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했지만, 개인통관번호는 2019년부터 개인정보보호와 면세혜택을 받기 위해서 의무사용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개인통관고유부호는 예를 들어 P123456789000 처럼 P로 시작하는 13자리의 문자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많은 쇼핑몰에서도 해외직구 물품을 구매하게 되면 … 더 읽기

여권 분실 신고방법 – 잦은 분실은 2년 유효기간 패널티

여권분실-신고하는-방법

여권을 분실한 경우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분실신고가 가능합니다. 온라인을 통해 분실신고를 신청하는 경우 신고를 취소할 수 없으며, 여권의 효력이 정지됨은 물론이고 만약 다시 여권을 찾았을 때 더 이상 사용이 불가합니다. 따라서 여권 분실신고를 하기 이전에 반드시 경찰청 유실물 통합포털을 통해 습득이된 내 여권이 있는지 먼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해외여행중 여권을 분실한 경우라면 가까운 대한민국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