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보건포털에서 제공하는 e보건소 홈페이지에서 증명문서발급의 결핵 진단서 발급 메뉴로 들어가면 결핵진단서를 인터넷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은 경우 2~3일 뒤에 결핵진단서를 직접 방문하여 검사 결과지를 받거나 온라인으로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공공보건포털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동인증서나 간편인증 등으로 본인인증이 필요합니다. 결핵진단서는 영문으로 발급이 가능하며 이 외에도 외국인용 결핵진단서, 보건증, 채용신체검사서, 예방접종증명서 그리고 진료비 납입증명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보건소 뿐만아니라 일반 병원에서도 결핵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소에서 결핵 검사는 대부분 무료로 진행되며 병원에서 받는 경우 약 2~3만원의 검사 비용이 발생합니다. 간혹 결핵검사를 한 당일에 결핵진단서를 발급해주는 병원도 있기 때문에 병원 마다 개별적으로 문의하는 것도 좋습니다.
한편, 결핵진단서는 결핵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서류입니다. 활동성 결핵은 전염성이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 산후조리원, 유치원, 학교, 어린이집 그리고 아동복시설이나 대학교 기숙사 등과 같은 단체생활을 하는 곳에서 근무하거나 머무르는 사람은 의무검사대상 근무지로 분류되어 반드시 결핵 검사를 받아야합니다.
결핵 진단서 인터넷 발급 방법
1.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공식 홈페이지로 접속 후 공동인증서 등으로 본인인증 로그인 합니다.
2. 민원서비스의 결핵 및 잠복결핵 검진결과서를 선택합니다.
3. 각종약관을 확인합니다.
4. 보건소 건강진단서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결핵 검사 종류
일반적으로 보건소에서는 활동성 결핵검사를 위해 흉부X선 촬영을 하며 결핵 의심 소견이 나오면 확진을 위한 가래 검사등을 진행합니다.
구분 | 검사명 | 설명 | 특징 |
잠복결핵 검사 |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 (TST) | 피부에 결핵 항원을 주사하여 잠복결핵 감염 여부를 확인 | BCG 접종 영향 받음. 48~72시간 후 반응 확인 |
인터페론 감마 분비 검사 (IGRA) | 혈액 검사로 결핵균에 대한 면역 반응을 통해 잠복결핵 여부를 진단 | BCG 접종 영향 없음. 신뢰도 높음 | |
활동성 결핵 검사 | 흉부 X선 촬영 | 폐에 결핵성 병변이 있는지 확인하는 기본 검사 | 결핵 진단의 첫 번째 단계 |
객담 도말 검사 | 가래에 결핵균이 있는지 직접 확인 | 신속하게 결핵균 존재 확인 가능 | |
객담 배양 검사 | 결핵균을 배양하여 유무 및 약제 내성을 검사 | 6~8주 소요. 정확도 높음. 결핵균 배양과 약제 내성 확인 가능 | |
결핵균 PCR 검사 | 결핵균 DNA를 증폭하여 감염 여부를 빠르게 확인 | 신속하고 정확도 높음 | |
약제 감수성 검사 | 결핵균이 특정 항결핵제에 대한 내성이 있는지 검사 | 다제내성 결핵 의심 시 필요 |
관련영상
관련문서
문의하기
결핵 진단서 인터넷 발급과 관련된 문의는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혹은 해당 지역의 각 보건소에서 개별 문의하시면 친절히 답변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