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율 조회를 통해 취업이나 이직하고자 하는 직장의 인력관리상태나 조직상태를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직원의 만족도나 회사의 경쟁력, 조직문화 등을 파악해 볼 수도 있습니다.
퇴사율이 절대적인 지표는 될 수 없지만 참고해볼만한 데이터가 될 수 있습니다. 퇴사율은 업종에 따라 업무에 따라 그리고 회사에 따라 천차만별이므로 참고하는 정도로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퇴사율 및 연봉은 크레딧잡, 잡데이터, 오픈샐러리 등에서 온라인으로 쉽게 조회가 가능합니다. 해당 사이트들에서 제공하는 내용은 대부분 국민연금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합니다.
직원 변동내역은 기업마다 시간제 직원, 시간제 직원, 계약직원, 촉탁근로 등의 포함여부 그리고 연봉부분에서는 비과세액과 성과급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제 기업의 연봉 및 퇴사인원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참고자료로만 사용하길 권장됩니다.
크레딧잡 퇴사율 조회방법
1. 크레딧잡 공식 홈페이지로 접속 후 공인인증서 등으로 로그인 합니다.
2. 검색창에 확인을 원하는 기업을 검색합니다.
3. 기업요약을 확인합니다.
4. 인원 메뉴에서 최근1년 퇴사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크레딧 잡에서 제공하는 퇴사율은 최근 1년 국민연금 상실자 총합 ÷ 최근 1년 월 평균 재직인원이 기준입니다.
잡데이터 퇴사율 조회방법
1. 잡데이터 공식 홈페이지로 접속 후 공인인증서 등으로 로그인 합니다.
2. 잡데이터 검색창에 원하는 회사명이나 사업자번호를 입력합니다.
3. 검색결과를 클릭합니다.
4. 기업 연봉조회와 함께 입사율과 퇴사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잡데이터에서의 퇴사율은 최근 3개월 내의 종업원 증감 비율로 계산되었습니다.
오픈샐러리 퇴사율 조회방법
1. 인크루트의 오픈샐러리 공식 홈페이지로 접속 후 공인인증서 등으로 로그인 합니다.
2. 기업명을 검색합니다.
3. 최근 1년 입사율과 퇴사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퇴사율 산식
월 퇴사율 산식은 퇴사자 수에서 매월말 재직자에서 퇴사자를 더한 수를 나누어 100을 곱하면 됩니다.
월 퇴사율 : 퇴사자 / (매월말 재직자 + 퇴사자) x 100 |
연 퇴사율은 최근 1년 국민연금 상실자 총합 ÷ 최근 1년 월 평균 재직인원이 기준입니다.
연 퇴사율 = 최근 1년 국민연금 상실자 총합 / 최근 1년 월 평균 재직인원 |